잡지기고, ‘나는 목수다’, SPACE No.547, 2013.05
An Article, ‘Handyman Available for Home Repair’, Magazine SPACE No.552, Oct. 2013
난 목수다
난 요즘 집 수리修理에 재미를 붙였다. 집수리하면 무언가 촌스런 느낌이 들거나 동네에서 흔히 보던 간판을 떠올린다면 내가 말하려는 그것의 의미와 크게 다르지 않다. 내가 하는 일 역시 여느 집 수리 쟁이들 처럼 현장 인부들의 숫자를 헤아려 점심밥을 시키고, 삼립빵과 컵라면의 가격 차이를 따져 새 참을 준비하고, 내일 사용할 벽돌을 미리 주문하고, 새벽 인력시장에 기별해 젊은 사람이 아니면 되돌려 보내겠다며 눈을 부라리거는 집수리 목수인 것이다.
얼마 전까지 나의 생업은 집을 설계하는 일이었다. 그중에서도 개신교 예배당이 많았다. 처음 맡은 일은 제주도강정교회였는데 그때 나이 서른다섯 이었다. 나의 재주가 괜찮아보였던지 옆 동네에서도 일을 맡겼고, 파주, 부천에서도 주문이 들어왔다. 최근에 지어진 풀향기 교회가 마흔 여덟에 지어졌으니 근 십여년 교회 건축가라는 타이틀로 살아 온 것이다.
요즈음 내 명함에는 건축가 대신 목수라는 직함이 찍혀있다. 이것의 의미는 그 동안 지향했던 건축가 적 삶을 더 이상 지속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내 삶의 경로를 수정한 것이다. 이러한 결정은 내가 소유한 재능 혹은 자질이라고 불리는 결코 유쾌하지 않은 언어를 뼈아프게 수긍할 수 밖에 없었던 경험과 ‘내 생각’이라고 부르던 건축에 대한 관념조차도 내 몸에서 자란 것이 아님을 알고서다. 그런 각성과 더불어 오랫동안 집중했던 교회건축에서 더 이상의 진보적 성과를 얻을 수 없다는 판단과도 관계한다. 대개 그렇지만 이념적 동반이 없이는 지속이란 낱말을 정직하게 사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교회건축을 통해 내가 성취하려던 시도들의 실패는 내가 지닌 태생적 한계 때문이었다. 어떤 사주쟁이의 말마따나 도덕적 관념이 부재한 인간이 종교건축에서 도달할 수 있는 지점은 이미 정해져 있었던 것일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말하면 그들은 내가 이방인임을 알았고 나 또한 숨기지 않았다. 누가 이방인을 품겠는가?
나는 이 경험을 통해 두 가지의 결과를 얻었다. 하나는 자신의 영토라고 믿었던 곳으로부터 소출을 얻지 못한 자의 쓰디쓴 절망이었으며 또 하나는 그것에 상응하는 자유였다. 전자는 선택이었지만 후자는 보너스였다. 공들인 경작지에서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것은 슬픈일이 분명했지만 그런 상실로부터 얻은 자각은 그동안 겪어보지 못했던 다른 종류의 행복을 선사한 것이다. 아주 홀가분했고 더러는 섭섭했다. 이런 결정이 수정을 초래한 대상으로부터가 아니라 스스로의 성찰에 의해 얻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는 말이다. 그렇지만 동상처럼 자리했던 건축가 적 욕망과 그것의 숙주처럼 엉겨있던 열등감도 동시에 소멸되었다. 이제 나보다 월등한 능력을 가진 건축가를 만나도 더 이상 질투심이 생기지 않는다. 왜냐하면 나는 건축가가 아닌 목수이기 때문이다. SPACE 2011.08
I’m not paper architect.
I recently have been infatuated with home repair. If the term home repair evokes a sense of dowdiness or prompts you to imagine commonly seen store signs in your neighborhood, you are not too far off from what I am about to say here. Like other ordinary handymen who make a living from sprucing up homes, my responsibility is to order lunch for workers on site, prepare snacks for them cost effectively, place orders for bricks to be used the next day or call the local labor resource center to make sure they send young and brawny workers to my office. After all, I am a woodworker who routinely visits an eatery with a smudge of paint on my face and drinks a couple of bottles of Soju with dinner.
Until Recently
I used to make a living by providing designs for houses, especially for protestant churches. The first church I was in charge of designing and constructing was GangjeongChurchon JejuIslandat the age of 35. Apparently, people thought that I have a knack for building churches as I received requests from several churches across the country in the wake of constructing the first church, including from a neighborhood close by. I’ve recently finished building PulhyanggiChurchat 48, which means I have lived more than a decade with the title of a church architect.
These Days
My current title-what it says on my business card-is woodworker, not architect. This implies that my life path has changed, determined not to continue pursuing the long-cherished career as an architect. This decision came as a result of my painful experience of having to admit no talent for architecture, combined with an acknowledgement that my architectural concepts which I previously believed to be my own did not actually originate from me.
Also, my decision to give up on the title of architect was influenced by the thought that no more progressive achievement can be made from church architecture. In fact, it is difficult to honestly use the word sustainment without ideological accompaniment. Therefore, I think my inherent limitation is attributed to my failure to obtain achievements through church architecture. As a fortune-teller once said to me, the point where human nature void of morals can reach through religious architecture might have been already limited. Simply put, they immediately noticed I was a stranger and I didn’t even bother to hide it. Who would embrace such a stranger?
From this experience, I reached two conclusions. One was the bitter despair from reaping nothing from what I believed was my own land. And, the other was freedom which compensates for the despair. The former was a choice, but the latter was an unexpected reward. Truly, it is sad to harvest nothing from my hard labor until now, but the poignant realization brought me happiness different from what I have experienced before. I had mixed feelings since this decision was made not as a result of my own introspection, but by the subject that led to my modified career path. However, my desire as an architect lied deep in the bottom of my heart and an inferiority complex which was simultaneously etched in my being also disappeared with me letting go of my desire. Now, I no longer feel jealous when I encounter architects much more talented than me. This is simply because I am a woodworker, not an architect.